빅토리 햄버거 메뉴

 

 

 

육아휴직제도 총정리

급여 상한액부터 사후지급금까지, 놓치면 손해!


👶 육아는 기다려주지 않지만, 회사는 기다릴 수 있다

“아이를 낳았다고 해서 회사가 내 자리를 대신 채울까?”
“경력 단절 없이 아이도 키울 수는 없을까?”

육아와 커리어 사이에서 수많은 워킹맘·워킹대디들이 매일 갈등합니다.
하지만 이럴 때, 우리나라에는 ‘육아휴직제도’라는 훌륭한 선택지가 있습니다.
직장을 유지하면서도 아이와 함께할 수 있는 권리, 육아휴직은 더 이상 특별한 혜택이 아닌 누구나 누려야 할 기본 제도입니다.

 

 

 

 

 


✅ 육아휴직제도란?

육아휴직제도란,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둔 근로자
자녀 양육을 위해 일정 기간 동안 휴직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.

  • 근로기준법 제19조고용보험법에 근거
  • 최대 1년간 육아휴직 가능
  • 엄마·아빠 각각 1년씩 사용 가능(총 2년)
  • 임금 일부를 육아휴직 급여로 대체 지급

🧾 육아휴직 자격요건

항목 조건
대상 고용보험에 가입한 근로자
자녀 조건 만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
고용보험 가입 기간 최소 180일 이상 가입
고용형태 정규직, 계약직, 파트타이머 모두 가능 (단, 사용 기간 중 계약 유지 필수)
신청 시기 자녀 생후~만 8세 사이 언제든 가능

❗단, 공무원/교사는 별도 공무원법 및 교육공무원법 적용

 

 

 

 

 

 


💰 2025 육아휴직 급여 금액 정리

✔ 월별 지급 금액 (2025년 기준)

구분 급여 비율 상한액 하한액
휴직 1~3개월 통상임금의 80% 월 최대 180만 원 월 최소 70만 원
휴직 4~12개월 통상임금의 50% 월 최대 150만 원 월 최소 70만 원
  • 급여는 고용노동부에서 지급
  • 신청은 매달 진행 또는 1~3개월 단위 신청 가능
  • 소득세 비과세

📌 통상임금 기준이란?

  • 통상임금은 평상시 고정적으로 받는 월급(기본급+상여금 등 정기적 수당 포함)
  • 비정기적 수당(초과근무수당 등)은 제외

💡 육아휴직 사후지급금 제도란?

육아휴직 급여의 일부는 ‘사후지급금’으로 퇴직 시까지 유보됩니다.

구분 내용
총 급여 중 25%는 사후지급금으로 보류
지급 시기 육아휴직 종료 후 원직장 복귀하여 6개월 이상 재직 시 지급
금액 예시 휴직 중 월 150만 원 수령 시, 매달 37.5만 원은 사후 지급금으로 보류 → 1년 후 약 450만 원 일괄 지급 가능

🔔 중도 퇴사 시 사후지급금 미지급 주의!
실제 복귀 후 6개월 이상 근무 요건 충족 필수

 

 

 

 

 

 


👨‍👩‍👧‍👦 육아휴직 급여 실수령액 예시

월 통상임금 1~3개월 (80%) 4~12개월 (50%) 연 총 급여 사후지급금(25%) 실제 월수령
250만원 200만원 (상한 180만 원 적용) 125만원 (상한 150만 원 적용) 약 1,710만원 약 430만원 월 평균 약 107만원

💬 회사 월급의 절반 이상은 유지되며,
퇴직 전 사후지급금까지 합하면 금전적 손해보다 가족과의 시간의 가치가 더 큽니다.


📅 신청방법과 시기

① 신청 시기

  • 육아휴직 시작일 최소 30일 전 신청
  • 회사 인사팀 또는 고용노동부 HRD-Net 시스템에서 신청

② 신청 방법

  • 고용보험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
  • 준비서류: 육아휴직신청서, 통상임금 확인자료, 가족관계증명서 등

❗ 회사가 육아휴직을 거부할 수 없음 (정당한 사유 없는 거부 시 법적 처벌 대상)

 

 

 

 

 

 


🍼 육아휴직과 함께 받을 수 있는 추가 제도

1. 아빠육아휴직 보너스제

  • 두 번째로 육아휴직을 사용하는 배우자에게는 1~3개월간 통상임금 100% 지급 (상한 250만 원)
  • 맞벌이 가정 강력 추천 제도

2.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

  • 하루 1~5시간 단축 근무
  • 급여 일부 보전 (월 최대 90만 원)

3. 육아휴직 급여와 병행 가능한 복지

  • 육아휴직 중 의료보험 유지
  • 자녀돌봄휴가, 가족돌봄휴가 등 중복 사용 가능
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육아휴직 중 퇴사하면 사후지급금은 받나요?

  • 아니요. 복직 후 6개월 이상 재직해야 사후지급금 수령 가능

Q2. 계약직이나 프리랜서도 신청할 수 있나요?

  • 계약직은 가능하나, 휴직 기간 중 고용계약이 유지돼야 함
  • 프리랜서는 고용보험 가입이 아닌 경우 대부분 제외

Q3. 두 자녀에게 각각 육아휴직 사용 가능한가요?

  • 가능! 자녀당 1년씩 총 2년 육아휴직 가능

 

 

 

 

 


💬 마무리: 커리어를 쉬어도, 인생을 멈추는 건 아니니까

“육아휴직을 쓰면 눈치 보일까 봐요.”
“돌아갔을 때 제 자리가 없으면 어쩌죠?”

그 마음, 너무나 이해됩니다.
하지만 오늘 하루의 공백이, 아이와 보내는 유일한 기회일지도 모릅니다.
그리고 그 선택을 존중하고 지지하는 사회적 시스템이 존재합니다.

“당신의 자리는 회사에도 있지만,
아이의 마음엔 단 하나뿐입니다.”

 

 

위쪽 화살표